로고 로고

교유당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내 전체검색
  • BOOK
  • 교유서가
  • BOOK

    다온테마는 오늘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겠습니다.

    교유서가

    김학찬 유고집 세트

    지은이 김학찬
    출간일 2025년 8월 10일
    사양 130*200 mm (양장)|596쪽
    ISBN 979-11-94523-59-8
    수상
    정가 34,000원
    판매처

    목록으로

    본문

    책소개

    작가로 태어나지는 않았으나

    소설가가 되었으니

    조금 더, 글을 쓰다 떠나겠다

     

    우리 모두에게는 구름기가 있대.

    구름 위에 올라탈 수 있다는 마음,

    구름 위 세상을 받아들이는 믿음,

    구름보다 신기하고 아름다운 것을 모르던 때를 구름기라고 부른대.”

     

    작가를 사랑한 독자와, 그를 기억하는 모든 이에게 보내는 작은 위로.

     

    끝까지 쓰는 작가로 남기를 바랐던 김학찬 작가의 소망이,

    이제 두 권의 책으로 우리 곁에 머문다

     

    초판 1쇄 한정 양장본

     

    그가 너무 일찍 우리를 떠난 작가로만 기억되지 않기를, 그의 고유한 영혼이 담긴 글 속에서 영원한 작가로 기억되기를. 나는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며 비로소 그에게 마지막 작별 인사를 건넬 수 있었다.

    _최은영(소설가)

     

    진짜 구름은, 얼룩이 있어야 해라는 문장이 마지막 소설집을 읽는 독자에게 위로가 될 수 있을까. 소설가 김학찬이 보여주려 했던 구름은 진짜였고, 이것은 진짜 소설이다.

    _서유미(소설가)

     

    김학찬은 딱딱한 다큐의 언어가 아닌 단단하지만 몽글몽글한 문학의 언어로 우리가 사는 진짜 세계를 풀어낼 줄 아는 소설가였다.

    _박진규(소설가)

     

    이 작품집의 출간으로, ‘끝까지 쓰는 소설가가 되겠다는 그의 약속은 이행된 듯싶다. 여기에서 이라는 단어가 내게 주는 상흔이 적지 않지만, 그래도 이 작품집이 그의 이야기가 임을 선언하는 게 아니라 -없음을 선언하는 것이기를 빌어본다.

    _이만영(문학평론가)

     

    운명의 시일이 다가온다는 것은, 요리와 빨래와 세차와 운전과 여행 같은 일상이 모조리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되고, 몸과 마음이 지속된다는 행운을 끝없이 상기해야만 하는 것일 테다.

    _남궁인(응급의학과 교수)

     

    그를 통해 삶이 죽음 앞에서도 삶일 수 있는 방법을 배웠다. 무엇보다도 여기에 기록된 문장들이 내게 그것을 가르쳐주었다.

    _한지혜(소설가)

     

    멋진 작가, 김학찬. 세심한 강의자였고, 깊은 눈을 가진 연구자였던 김학찬. 새치기할 줄도, 입에 발린 소리를 전혀 할 줄도 몰랐던 올곧은 김학찬. 끝까지 다정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던 누군가의 남편 김학찬. 그리고 누구보다도 좋은 사람, 김학찬.

    _이은선(소설가)

     

     

    가만히 앉아서 소설만 쓰고 싶었습니다

     

    너무 일찍 떠난 작가로만 기억되지 않기를,

    영원한 작가로 기억되기를……

     

    202528일 토요일 느지막한 오후에 모르는 번호로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김학찬 작가의 아내인데, 남편이 조금 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남편이 떠나면서 출판사에 꼭 돈(계약금)을 돌려드려야 한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장례 치르고 약속 지키겠습니다.” 울음 섞인 혼란스러운 목소리에 전화를 끊었고, 출판사에서는 아내에게 문자메시지를 남겼다. “선생님께서 산문집을 내고 싶어하셨습니다. 한 달 전 대화에서는 소설집을 내고 싶어하셨고요. 이제 아내분에게 선택권이 있으니 차차 판단해주세요. 그간의 글들을 모아서 책을 내면 좋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부의금으로 생각하고 계약금은 돌려받지 않겠습니다.”

     

    김학찬. 너무 이른 나이에 우리 곁을 떠난 작가. 향년 42. 20252월에 세상을 떠난 김학찬 작가의 유고 소설집과 산문집이 그의 생일에 맞춰 교유서가에서 나란히 출간되었다. 김학찬 작가가 원고를 쓰면 항상 가장 먼저 읽고 의견을 나눴던 문우인 아내 최수경 선생이 남편의 작품을 모았고, 이은선, 서유미 등 동료작가들의 마음을 모아 출간하였다. 작가를 사랑한 독자와, 그를 기억하는 모든 이에게 보내는 작은 위로이자, 김학찬이라는 이름이 우리 곁에 오래 남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기획되어, 삶의 마지막까지 끝까지 쓰는 작가로 남기를 바랐던 김학찬 작가의 소망이, 이제 두 권의 책으로 우리 곁에 머물게 되었다.

     

    이번에 펴낸 김학찬 유고집 두 권 중 소설집 구름기는 미발표작을 포함해 청년 시절에 썼지만 책으로 묶지 않았던 작품과 2023년에 펴낸 사소한 취향이후 썼던 최근작들을 모았고, 산문집 투암기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던 기침으로 병원에 들렀다가 폐암 4기 진단을 받고 써내려간 산문이다. (산문집 투암기는 차례만 펼쳐도 1부와 2부가 마치 이별하듯 갈라져 있다. 병세가 급격히 깊어지며 글은 끝내 멈추었고, 남은 문장은 미완의 숨결로 우리 앞에 머물렀다.)

     

    김학찬 작가는 1983년 경북 고령에서 태어나, 2012년 장편소설 풀빵이 어때서?로 제6회 창비장편소설상을 수상하며 문단에 화려하게 등장했다. 이후 상큼하진 않지만(문학동네) 굿 이브닝, 펭귄(다산책방), 그리고 소설집 사소한 취향(교유서가) 등 현실의 미묘한 결을 포착하는 작품들로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그는 전태일문학상, 최명희청년문학상 등 주요 문학상을 수상하며, 동시대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그려냈다. 그의 갑작스러운 부고는 문단과 독자들에게 큰 슬픔을 남겼지만, 그가 남긴 문장들은 여전히 살아 숨쉬고 있다.

     

    이번에 출간되는 유고 소설집과 산문집은, 김학찬 작가가 마지막까지 붙들었던 일상의 사소한 풍경과 사랑, 가족, 그리고 살아 있음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의 글은 때로는 조용히, 때로는 단단하게 독자의 마음을 두드린다. “모든 사건의 진짜 확률은 언제나 반반입니다. () 사람은 다 먹고살게 되어 있다고”() 한 그의 소설 속 문장처럼, 삶의 불확실함 속에서도 희망을 놓지 않는 시선이 곳곳에 배어 있다.

     

    김학찬 작가의 유고집은 작가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장이 계속 살아 있음을 증명한다

    작가소개
    지은이: 김학찬(1983-2025)
    2012년 장편소설 『풀빵이 어때서?』로 제6회 창비장편소설상 수상.
    장편소설 『상큼하진 않지만』 『굿 이브닝, 펭귄』, 소설집 『사소한 취향』 등이 있다.

    첨부파일